예방
home 호흡기 감염병 퇴치R&D예방

예방

신속 대응 백신 플랫폼 개발
·개요
기후변화로 인한 신변종바이러스의 집단감염과 판데믹의 위험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2005년의 SARS 유행, 2009년의 신종인플루엔자, 2014년의 에볼라바이러스, 2015년의 MERS 대유행, 2019년의 COVID-19와 같이 신변종 감염병의 집단발병의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백신은 신종 감염병의 대유행과 집단 발병에서 감염병 전파를 막을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며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신변종감염병의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감염병 최대 유행 전에 백신 개발과 생산이 완료되어야 하며, 발병 이후 개발까지 6개월, 사용 인허가까지 1년 이내 개발을 완료해야 합니다.
·진행사항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에서는 이러한 신종 감염병의 집단 발병과 판데믹에 대응하기 위하여 재조합 BCG를 이용한 신속대응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간의 개발 기간을 포함하여, 신변종 감염병에 즉시 대응 할 수 있도록 감염원의 유전체의 항원 라이브러리를 BCG 재조합 시스템을 이용하여 스크리닝과 생산을 동시에 진행 할 수 있는 신속대응 백신을 시험하고 있습니다.
Pathogenic Agents Vaccine Platforms FACS Cell Sorter Pathogenic Agents -모바일 화면용 이미지 Vaccine Platforms -모바일 화면용 이미지 FACS Cell Sorter -모바일 화면용 이미지
·비전과 전망
재조합 BCG는 광범위 활용가능한 백신으로 호흡기, 또는 기타 감염증의 감염체를 분리하여, cDNA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이후 최적항원 스크리닝과 백신 후보주를 직접 선별할 수 있으며, BCG 백신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임상 1상과 2상의 빠른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우결핵 예방을 위한 사료백신 개발
·개요
Mycobacterium bovis(M. bovis)에 의해 발생되는 우결핵은 동물과 사람 간 전파 및 감염이 가능한 인수공통감염 질병입니다.
소 감염 질환 중 브루셀라증은 백신 정책으로 인해 감소하였지만 우결핵은 여전히 근절되지 않고 가장 많이 감염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유일한 결핵 백신인 BCG를 우류에 접종할 경우 현재 우결핵 진단 방법(PPD, ELISA 등)의 위양성률을 증가시키는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현재 국가 정책으로는 진단 후 살처분만이 유일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우결핵 발생건수는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살처분 및 검사 비용에 대한 국가 손실을 발생시키므로 효율적인 차세대 우결핵 백신 개발이 필수적입니다.
·진행 사항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에서는 이러한 우결핵의 국가적 경제 손실 및 감염의 위험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효모 발현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우결핵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의 개발 기간을 포함하여, 우결핵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감염원의 유전체의 항원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안전성이 입증된 효모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세대 우결핵 사료 백신을 개발 및 시험하고 있습니다.
우결핵 임삼균주 분리 배양, 임상균주의 항원성 병원성 비교 우결핵 임상균주 cDNA Library 제작 우결핵 항원이 표면발현된 Library 재조합효모균주 제작 수지상세포 감염 FACS Cell Sorter를 이용한 백신 후보주 선별 항산귝성장억제분석법 백신 효과확인 우결핵 임삼균주 분리 배양 -모바일 화면용 이미지 임상균주의 항원성 병원성 비교 -모바일 화면용 이미지 우결핵 임상균주 cDNA Library 제작 -모바일 화면용 이미지 우결핵 항원이 표면발현된 Library 재조합효모균주 제작 -모바일 화면용 이미지 수지상세포 감염 FACS Cell Sorter를 이용한 백신 후보주 선별 -모바일 화면용 이미지 항산균성장억제분석법 백신 효과확인 -모바일 화면용 이미지
·비전과 전망
효모균주(Pichia pastoris)를 이용한 백신 개발 플랫폼은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경제적이고 안전성이 입증된 플랫폼으로 사료 백신에 대한 접근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우결핵 임상균주의 cDNA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면역활성화에 따른 최적항원 스크리닝과 백신 후보주를 직접 선별할 수 있으며, 차세대 우결핵 사료 백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결핵환자의 효과적인 관리와 치료를 위한 정책 개발
·개요
국내 결핵환자 발생률은 49명/10만명으로 OECD 국가 중 1위, 사망률은 3.8명/10만명으로 3위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아직까지 결핵으로부터 안전한 국가라고 할 수 없습니다. (WHO, Global Tuberculosis Report 2021)
65세 이상 결핵환자가 전체 환자의 51%를 차지하고 있으며(질병관리청, 2021 결핵환자 신고현황 연보), 노숙인 등 주거취약계층의 결핵 치료 중단율은 기타 집단에 비해 약 2.5배 높습니다.(한국보건행정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2013)
또한 국내 체류 외국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 결핵환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질병관리청, 주간 건강과 질병·제12권 제17호)
·진행 사항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결핵 진단과 치료에 취약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시범사업 모델을 구축하여 국책과제 및 내부과제를 수행하였으며, 특히 결핵환자의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국가결핵관리지침에 반영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질병관리청, 한국보건의료연구원과 함께 결핵신고자료, 건강보험공단자료, 통계청 자료를 통합하는 DB를 구축하는 협력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2022년부터 2023년까지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한결핵협회 내부의 백서를 제작중에 있으며, 결핵과 코로나19에 동반 감염된 환자의 사망률과 관련한 분석 연구를 기획하여 수행중입니다.
·비전과 전망
결핵환자의 발견/진단/치료/관리와 관련된 연구과제를 발굴하여 수행하고 이를 국가결핵관리지침에 반영하는 등 정책제언을 위한 근거자료를 수립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앞으로 도전해야 될 과제로는 외국인 결핵환자, 잠복결핵감염 양성자, 노인 결핵환자의 치료 및 관리가 있습니다.
위로가기